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정리: 0.1원으로 타 거래소로 옮기는 방법!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아깝지 않으신가요? 저도 뭣도 모르고 비트코인을 바이낸스로 옮겼다가 10만 원 이상의 수수료를 낸 적이 있습니다.

출금을 하게 되면 은행의 이체 수수료와 비슷한 개념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저도 몰랐지만 이러한 수수료가 거래소 그리고 가상자산 종류별로 달라진다고 합니다.

그럼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많은 사람들이 거래하는 이더리움과 비트코인 같은 경우 수수료가 약 10만 원 필요하지만 스텔라루멘과 같은 코인은 0.1원이면 보낼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송금 방법] 가상자산 옮기는 방법: 거래소별 지갑 주소 확인(업비트, 바이낸스 등)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대표적인 한국 거래소인 빗썸, 업비트에서 선물거래, 마진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바이낸스, 바이비트와 같은 곳으로 옮기고 싶다고요?

그렇다면 스텔라루멘∙리플 코인으로 옮기는 걸 추천드립니다. 왜냐구요? 가상화폐 송금을 하게 되면 통행료 개념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며 전송 시간도 어느 정도 걸리게 됩니다.

그런데 코인별로 이러한 전송 시간과 수수료가 상이하다는 사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가상화폐를 선택해 송금하셔야 합니다.

보통 비트코인 같은 경우 수수료도 한국 거래소 같은 경우 0.0009~0.001BTC 만큼 지불해야 하며 전송시간도 40분이나 걸립니다.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와 전송 시간은 자산별 상이합니다.

❗️[가상자산 과세 유예 확정?] 가상화폐 세금 시행일 정리: 2027년 1월까지 유예 가능성은?

❏ 얼마나 차이 나길래?

우선 코인마다 왜 송금 수수료 차이가 나는지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 특히 비트코인 같은 경우 가상자산 중에 가장 높은 도미넌스를 차지하고 있는데 수수료가 싸야 될 텐데요.

이는 가상자산마다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전송되는 네트워크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경우에는 채굴 노드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높은 수수료가 요구되지만, 리플과 솔라나와 같은 코인은 자체 메인넷이 존재하기 때문에 저렴한 수수료와 빠르게 전달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가상화폐 송금할 경우 수수료가 효율적인 코인을 선택하는 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코인명수수료전송시간
리플0.4XRP1분 정도 소요
이더리움0.007ETH14분 소요
도지코인8DOGE40분 소요
비트코인0.0008BTC40분 소요
솔라나0.009SOL1분 정도 소요
코인 수수료, 전송시간(한국 업비트 기준)
  • 코인 시세에 따라 수수료 변동 됨
  • 수수료는 거래소별로 조금씩 달라짐

❗️[거래소 수수료 현황 알아보기] 암호화폐 거래소 수수료 정리: 업비트 vs 빗썸 vs 바이낸스 등 7곳 비교!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순위

대표적인 흔히 ‘메이저’라고 불리는 가상화폐 수수료 순위를 살펴보면 리플이 그나마 시세 대비 저렴한 수수료와 빠른 전송시간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송금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면 이보다 더 저렴하고 빠르게 받을 수 있는 가상화폐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현재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의 개수가 워낙 많다 보니 이중 정말 전송에 특화된 코인이 있답니다.

코인명수수료현재가(1개당)
트론0.9TRON284원
스텔라루멘0.005XLM706원
에이다0.45ADA1,470원
헤데라0.01HBAR236원
폴카닷0.075DOT12,160원
셀로0.4CELO1,288원
비트코인SV0.0005BSV96,840원
코인 수수료, 현재가(가격은 시간에 따라 변동됨)
  • 스텔라루멘, 트론, 헤데라 등 수수료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스텔라루멘 같은 경우 송금 수수료 0.1원 정도임(거의 없다고 보면 됨)

❏ 어떤 가상자산으로 송금해야 좋을까?

그럼 무조건 수수료가 낮은 가상자산으로 송금해야 이득일까요? 그건 아닙니다. 물론 수수료에서 10만 원과 0.1원은 하늘과 땅 차이인 만큼 이득이 되는 스텔라루멘 코인으로 전환해서 옮기는 것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다만, 그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부분이 있는데요. 바로 거래세 부분입니다. 내가 만약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과 같은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데 송금을 위해 매도를 하고 저렴한 수수료의 코인을 매수한다고 가정합시다.

그렇다면 총 4번의 수수료가 발생되게 됩니다. ❶비트코인 매도 수수료, ❷송금할 코인 매수 수수료, ❸송금할 코인 매도 수수료, ❹비트코인 매수 수수료 이렇게 말이죠.

그렇다면 1억 원을 업비트에서 전송해 바이낸스로 보낸다고 가정하면 총 0.1%(업비트) + 0.2%(바이낸스) = 0.3% 발생하게 됩니다.

즉 30만 원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는 거죠. 이런 경우에는 비트코인으로 송금하는 게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자산이 큰 경우
–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그대로 다른 거래소 지갑에 옮기는 게 이득임

💵 자산이 적은 경우
– 자산이 적은 경우 수수료가 싼 코인을 매수 후 옮기는 게 이득임

본인의 자산 규모가 얼마인지 확인한 뒤 매도∙매수 수수료 계산해야지 효율적으로 수수료 절약을 할 수 있습니다.

❗️[바이낸스 런치패드 알아보세요.] 런치패드 코인 바이낸스 등 참여방법 장단점: 평균 22.5배 수익률?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총정리

은행에서 돈을 옮길 때 이체 수수료가 발생하는 원리와 비슷하게 가상화폐 또한 다른 거래소로 옮기게 될 경우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자산의 규모와 코인별 이체에 필요한 수수료가 얼마인지, 전송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고려해야 하는데요.

실제로 비트코인 같은 경우 현재 시세에 따라 다른 거래소로 옮기게 되는 경우 약 10만 원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스텔라루멘 코인은 약 0.1원 수수료가 발생하죠.

적은 금액을 옮기고자 한다면 무조건 스텔라루멘 코인이 이득이지만 큰 금액을 옮긴다고 하면 매도∙매수에 따른 수수료가 더 많이 발생함으로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그대로 송금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즉 본인이 현재 얼마만큼 자산을 보유중이며 옮겨서 어떻게 운용할것인지 등 방법에 따라 수수료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얼마나 드나요?

A: 본인이 옮기고자 하는 코인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인 비트코인을 송금하고자 하는 경우 0.0008BTC, 약 10만 원 정도 필요합니다.

Q2. 수수료가 저렴한 코인 무엇이 있나요?

A: 현재까지 수수료가 저렴한 코인이라고 하면 스텔라루멘, 헤데라, 셀로 등 있으며 0.1원 미만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Q3. 무조건 수수료가 낮은 코인으로 옮기는 게 좋을까요?

A: 아닙니다. 수수료도 분명 중요한 요소이지만 해당 코인을 매수하기 위해 기존 코인을 매도하는 행위로 발생하는 수수료가 더 클 수 있어 자산이 큰 경우에는 기존 코인 그대로 송금하는 게 이득입니다.

Q4. 전송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A: 코인별로 다릅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 같은 경우 각 40분, 5분 정도 소요되며 리플, 스텔라, 트론과 같은 코인은 1분 이내 전송됩니다.

Q5. 송금 수수료가 가장 낮은 코인은 무엇인가요?

A: 현재 가장 낮은 수수료를 가지고 있는 코인은 ‘nano’이며 0원이라고 합니다.(상장 안 된 거래소 많아서 비추천)

💡[요즘 떠오르는 이슈 글]
가상화폐 증여세 10~50% 적용: 최대 10억 공제받는 법은?
금투세 폐지 확정: 가능성 90% 이상! 민주당 의견 발표
테슬라 로보밴 공개 출시: 장점과 2025년 6가지 전략까지!

Share this article

Recent posts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