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레이어 구조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현재 암호화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대다수가 이더리움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고 있습니다.
사실 기술만 보면 이더리움은 솔라나, 수이 등 최신 암호화폐보다 뒤쳐지지만 어째서 부동의 2위를 지키고 있을까요?
이유는 꾸준하게 업그레이드를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있으며 방대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레이어 1, 2’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Upcoming 업데이트]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 단일 최대 규모! 가격 영향은?
이더리움 레이어 구조
이더리움을 지갑에서 다른 지갑으로 옮겨보신 적 있으신가요? 정말 높은 수수료를 가지고 있으며 전송 속도도 20~30분 이상 소요되곤 합니다.
실제로 트랜잭션이 몰리게 되면 더 많은 수수료를 납입해야 하며 저 같은 경우 뭣도 모르고 10만 원 이상 지불한 적도 있어요.
✅ [이더리움 수수료 확인] 가상화폐 송금 수수료 정리: 0.1원으로 타 거래소로 옮기는 방법!
이러한 제한적 상황 연출, 네트워크 확장이 어려워짐에 따라 혼잡함과 높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등 문제가 불거지자 대규모 업데이트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게 바로 레이어 2(Layer 2)입니다. 레이어를 나눠 이더리움을 더욱 효율적이고 다양하게 이용하게 될 수 있는 거죠.
⛓️ 이더리움 레이어 1, 2(Layer 1, 2) 1) Layer 1: 이더리움 메인 블록체인을 의미함 – PoS(Proof of Stake) 즉, 이더리움을 스테이킹 함으로써 보상 획득 –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 – 거래 검증, 합의 프로토콜 유지 등 역할 수행 – 트랜잭션 속도 한계와 높은 수수료 문제 2) Layer 2: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설계된 확장 솔루션 – 트랜잭션 모아 레이어 1로 전달해주며 네트워크 확장에 기여 – 저렴하고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빠름 – 메인체인 부담 감소로 효율성 향상 * 레이어 1, 레이어 2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협조함 ❗️ [실제 암호화폐 사용] 캐나다 밴쿠버 비트코인 결제수단: 친화 도시로 만든다고? |
❏ 주목해야 할 건 Layer 2!
이렇듯 레이어를 나눔으로써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코인들이 무려 약 13,000여 개나 생겼습니다.
오픈 소스로서 다른 개발자들이 이더리움 코드를 이용하여 신규 코인들을 만들 수 있는데요.
이렇게 생성된 ‘A’라는 코인도 레이어 2를 이용해서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레이어 2의 등장은 이더리움을 암호화폐계의 어머니로서 굳건한 입지를 심어줬다고 볼 수 있죠.
✅ [이더리움 탐구] 이더리움 기반 코인 약 13,000개: NFT・Defi・DAO 등
주요 기술 | 내용 |
---|---|
롤업 | 레이어 2에서 트랜잭션 처리, 메인체인에 요약된 데이터 전송 |
사이드 체인 | 별도의 블록체인이지만, 메인체인과 연결되어 있음 |
플라즈마 | 트랜잭션 데이터를 레이어 2에서 처리 결과만 메인체인 기록 |
상태 채널 | 당사자들 간의 오프체인 합의로 거래 처리 후 메인체인 기록 |
이더리움 레이어 총정리
이더리움으로 탄생된 수많은 코인들 ERC-20 토큰들은 이제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엄청난 역할을 보여주고 있죠.
그 예가 바로 BNB(Binance coin), LINK(Chainlink), Polygon(MATIC), UNI(Uniswap) 등 있습니다.
특히, 레이어 2(Layer 2)의 등장으로 각기 코인들은 강력한 입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방대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죠.
앞으로 이러한 구성은 꾸준한 업데이트를 통해 발전할 것이며 네트워크 허들을 낮춰 더 많은 개발자들의 참여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금년 2025년은 ‘펙트라(Pectra)’라는 대규모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이더리움 레이어 구성 궁금합니다.
A: 이더리움 그 자체만으로 트랜잭션의 한계와 높은 수수료에 따라서 레이어를 2개로 분리한 것을 뜻합니다. 현재 레이어 1, 2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Q2. 레이어 1, 2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A: 레이어 1은 이더리움 그 자체로서 생태계를 관장하는 역할을 하며, 레이어 2는 사이드 체인의 역할을 하며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해주는 등 역할을 합니다.
Q3. 이더리움 생태계 규모가 어느정도인가요?
A: 현재 약 13,000개 이상의 암호화폐가 이를 기반으로 생성되었습니다. Defi, NFT, DAO 등 선구적인 위치와 방대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죠.
Q4. 향후 전망은 어떤가요?
A: 비트코인과 다르게 이더리움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도 대규모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엄마’의 역할로써 규모가 커질 전망입니다.
Q5. 레이어가 새롭게 더 등장할 수 있나요?
A: 네 개인적으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실생활에 밀접하게 연결되며 이에 따라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날이 온다면 가능성은 높다고 사료됩니다.
💡 [요즘 떠오르는 이슈 글]
이더리움 스테이킹 한도: 32개에서 6,300% 증가
암호화폐 거래소 수수료 정리: 업비트 vs 빗썸 vs 바이낸스 등 7곳 비교!